- 예제(1): 실수형 비교
( 10.0 == 10.0f는 true가 되고 0.1 == 0.1f false가 되는 것일까? )
( 그 이유는 0.1은 double로 인식하기 때문이다. )
(왜냐하면 실수형은 근사값이 저장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.)
( 단, 정수형 부분은 근사값이 저장되지 않으므로,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. )
- 예제(2): 문자형 비교
( a 변수와 "abc" 비교는 true이지만, b와 "abc" 비교는 false이다. )
( 그 이유는 b와 "abc"는 서로 다른 객체이기 때문이다. )
( 그렇다면 true 되도록 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)
-> equals()를 사용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