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트 기반 스트림: Byte 입출력 스트림
·
자바/입출력 IO
1. InputStream과 OutputStream -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바이트 기반 스트림의 메서드에 대한 예제를 해 볼 것이다. - 일단 먼저, InputStream의 메서드들을 알아보자. (1) int available() : 스트림으로부터 읽어 올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반환한다. (2) void close() : 스트림을 닫음으로써 사용하고 있던 자원을 반환한다. (3) void mark(int readlimit) : 현재 위치를 표시해 놓는다. : 후에 reset()에 의해서 표시해 놓은 위치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. : 그러므로, 매개변수 readlimit은 되돌아갈 수 있는 byte의 수이다. (4) void reset() : 스트림에서의 위치를 마지막으로 mark()이 호출되었던 위치..
입출력의 개념
·
자바/입출력 IO
1. 입출력이란? - 컴퓨터 내부 또는 외부의 장치와 프로그램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. - 예를 들면,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System.out으로 화면에 출력을 띄우는 것이 있다. 2. 스트림 - 자바에서 입출력을 수행할 때, 어느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스트림을 사용한다. - 여기서 정의하는 스트림은 데이터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연결통로이므로, 앞에서 다뤘던 스트림과는 다르다. - 스트림은 물에 비유해서 따온 이름이기에,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는 것과 같이 단방향 통신만 가능하다. 그러므로,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. - 만약 동시에 수행하게 할려면, 입력 스트림과 출력 스트림 두 개가 필요하다. - 스트림은 먼저 보낸 데이터를 먼저 받게 되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