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만약 정수형의 경우, long 타입의 리터럴에 접미사 'l' 또는 'L'을 붙이고, 접미사가
없으면 int 타입의 리터럴이다.
- 이때, byte나 short 타입의 리터럴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, 변수에 값을 저장할
때는 int 타입의 리터럴을 사용한다.
- 또한 16진수는 리터럴 앞에 '0X' 또는 '0x'을 붙이고 8진수의 경우에는 '0'만 붙인다.
2. 만약 실수형의 경우, float 타입은 'f' 또는 'F'를, double 타입에는 'd' 또는 'D'를 붙인다.
- 만약 실수 값이 변수에 저장할 때 아무런 접미사가 없으면, 그것은 기본 타입인 double이므로
'd' 또는 'D'를 생략할 수 있다.
- 그래서 만약 float 타입 변수에 접미사 'f' 또는 'F'가 없으면, double 타입으로 간주하므로 오류가
발생할 수 있다.
3. 기호 'e' 또는 'E'는 10의 제곱을 나타낼 때 붙여진다.
- ex1) 3.14e3f 는 3140.0f 와 같다.
- ex2) 1e-3 는 0.001 과 같다.
4. 기호 'p' 또는 'P'는 2의 제곱을 의미한다. 보통 기호 왼쪽에는 16진수 오른쪽에는 10진수 형태로 사용되어진다.
- ex1) 0x1p1 = (1x16^0) x 2^1
- ex2) 0x0.2p-1 = (2x16^-1) x 2^-1
- ex3) 0x12p3 = (1x16^1 + 2x16^0) x 2^3
'자바 > 기본적인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형식화된 출력 - prinf() (0) | 2020.12.30 |
---|---|
타입의 불일치와 문자와 문자열의 리터럴 (0) | 2020.12.30 |
기본형과 참조형 (0) | 2020.12.30 |
변수의 명명 규칙 (0) | 2020.12.30 |
자바 언어의 특징 (0) | 2020.12.29 |